Harvard Business Review Forum Korea
Summer Seasion 2023
조직의 목적을 대표(대리)하는 상징적 (명령적) 존재 자리로서의 리더, 그리고 상실을 메울 인정을 바라며 이상적 자아상을 향해 끊임없이 자기를 확장해가는 나르시시즘의 상상 속 리더.
이 둘은 같은 것일까요 다른 것일까요? 이 둘은 어떤 묘연의 관계가 있기는 한 것일까요?
일자의 목표를 위해 잘 조직된 공동체는 상실에 슬퍼하며 결핍을 메우려는 자아에게 대체물의 자리를 제안합니다. 그것은 목표의 대리자(agent)로서의 상징적 리더이자 동시에 위대한 이상(Idol)로서의 상상의 리더를 요구하지요. 이 관계없는 두 기표를 하나의 의미로 묶으려는 권력의 욕망이 리더의 분열증의 기원이 됩니다.
감정, 욕망, 자아… 등 우리가 살아가는 의식의 세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영역 - 우리는 이것을 진정한 자기의 모습이라고 착각하지요 -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 하지만 신체와 언어가 교집합 되어 있는 부분은 사실 정말 이질적인 맞지 않는 성격의 교집합입니다.
인간의 규범적 언어 문명을 가지고 있지 못한 생물의 군집을 바라볼 때 갖게 되는 인간의 관점을 생각하면 이 둘의 관계가 어떤 성격일지 쉽게 상상은 됩니다. 바로 “억압” 이지요.
가부장적 권력 체계, 남녀의 성차, 물신주의, 그리고 오늘날의 성과주의-피로사회의 문화까지 인간의 문명이 신체와 정동에 부여하는 언어적 억압은 우리가 쉽게 만나는 현대인의 “감정” 불능, 과잉 등의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.
MBTI가 모든 것을 이해하게 해 줄 것 같은 요즘, 두 사람의 갈등은 T-F 관계의 전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. 한 사람은 너무 감성적으로 예민하고 한 사람은 너무 독립적이고 기계적인 것이 문제라는 사장의 말을 기억하시지요. 그러나 두 사람의 감정의 배경엔 두 사람이 조직 내에서 놓인 자리, 그 자리에서 요구 받는 역할과 책임, 주어진 것 위해 스스로 지켜야 하는 권위와 욕망이 있음을 알 수 있었지요. 갈등의 본질은 당사자 간의 성향의 차이가 아니었지요. 흔히 말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도 아니었습니다. 두 사람은 조직 내에서 요구받는 역할 안에서 적합한 욕망을 가지고 느끼고 행동하고 있었으며 단지 체계가 실행되는 방식과 권위의 확보를 위한 실천 사이에 간극이 있었지요. 조직의 갈등을 다루는 수준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그 간극을 규정하고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해결을 통해 새로운 갈등을 지연하는 것이였지요.
태초에 쾌락이 있었고, 인간은 현재의 문명-언어(규범)을 받아들이는 존재로서 그것을 상실했다는 것이다. 그리고 그 상실을 보상받기 위해 허용된 (금지된) 욕망을 따르고 보상과 같은 가짜 쾌락을 추구한다는 것이다. 하지만 그 가짜 쾌락의 보상은 언젠가 실패를 마주하고 금지(규범) 너머의 상실했다고 상상하는 쾌락을 우리도 모르게(무의식적으로) 반복해서 집착하게 된다는 것이다.
이 반복의 수열 속에 언제나 등장하는 금지하는 아버지, 고통을 주는 아버지, 감시하고 응징하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우리를 언제나 불안과 수치심, 죄책감에 시달리게 한다.